• 커뮤니티
  • 새소식
새소식

물리학과 김동언교수-가속기 신현준박사 연구팀 연X선 현미경 개발 성공

페이지 정보

2004.11.04 / 2,336

본문

                                    50 nm 분해능 연 X 선 현미경 개발 성공
                               물리학과 김동언교수-가속기 신현준박사 연구팀


  살아있는 세포를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급에서 관찰 가능하게 하는  X선 현미경이 국내에서도 개발됐다.

   포항공대 김동언(金東彦·물리학)교수와 포항가속기 연구소 신현준(申鉉晙·물리학) 박사 연구팀은 원광대 윤권하(尹權夏·의학) 교수 연구팀, VMT (대표: 김진곤)과의 협력 연구를 통하여 산업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50㎚까지 구분해 낼 수 있는 X선 현미경을 미국과 독일 등에 이어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김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이 현미경은 파장이 2.3~4.4㎚ 영역의 X선을 이용하는 것으로,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의 단점을 극복한 새 현미경이다.

   기존의 광학현미경은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할 수 있지만 파장이 긴 가시광선을 이용하므로 1㎛(100만분의1m) 크기보다 작은 구조물을 관찰할 수 없다. 이론적으로는 파장이 짧을수록 더 작은 영역까지 관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자현미경의 확대배율이 가장 높다. 그러나 전자현미경은 세포를 죽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김 교수는 “X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10배 이상 짧아 1㎛ 이하 세포 구조물을 살아있는 채로 관찰할 수 있다며특히 이 영역의 파장은 산소와 탄소의 흡수도가 크게 차이나 세포 관찰에 매우 유리하다고 밝혔다.

   세포는 산소가 주성분인 물과 탄소로 만들어진 단백질 등으로 이뤄져 있다. 그러므로 이 영역의  X선으로 세포를 찍으면 물과 세포 구조물이 확연히 구분된다. 이 파장의 X선이 이른바 물의 창(water window)으로 불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김 교수는금속망을 촬영해서 50㎚의 분해능을 얻어내는데 성공했다며 앞으로 바이오, 의학 분야의 연구자들과 세포에 대한 연구가 추진될 것이며,  이 현미경은 신소재 물질의 특성 연구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새소식
Total : 742
게시물 검색
새소식 목록
Notice 2025-05-12 [동아사이언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흥미로운 양자정보기술 ±20년’을 주제로 제235회 한림원탁토론회 개최 (물리/융합 김윤호 교수)
Notice 2025-04-28 [전자신문]CPU분할 가상화기술 특허 보유 AI워크로드 실행 효율성 극대화 (물리 신정규 동문)
Notice 2025-04-23 [삼다일보] 제주과학고, 서준호 포스텍 교수 초청 특강
Notice 2025-04-15 [전자신문] 한국 인공태양 ‘KSTAR’ 국제 위상 점검…14~16일 국제자문위원회 개최 (물리/첨단원자력 윤건수 교수)
Notice 2025-04-15 [매일경제] “대한민국은 다시 젊어질 수 있을까요”...국가 미래를 바꿀 열 가지 질문은? (물리 염한웅 교수)
Notice 2025-04-03 [동아사이언스] “핵융합 조기 상용화하는 데 KSTAR 성능 한계 있다” (첨단/물리 윤건수 교수)
Notice 2025-04-03 [수상] 이채린 학생(통합1년차, 지도교수 손민주) 미국 「생물물리학회 연례 학술대회」 학부 포스터 대회 우승
2025-04-30 [더벨] “래블업, AI 스케일업 손쉽게…필수 인프라 될 것” (물리 신정규 동문
2025-04-22 [마켓뉴스] APCTP 신진연구그룹장 윤영대 박사, 한국물리학회 ‘플라즈마물리학 신진과학자상’ 수상 (물리 윤영대 겸직교수)
2025-04-10 [한국경제] “수백 대 GPU 서버 효율적 관리…최적의 AI 연구개발 환경 만든다” (물리 신정규·박종현 동문)
2025-03-28 [뉴시스] 포항시, AI시대 미래 성장 동력 발굴 위해 전문가 의견 청취 (박재훈 막스플랑크 포스텍연구소장, 나노융합기술원 신훈규 연구교수)
2025-03-07 [비즈니스포스트] 이재석 카페24 대표이사 (물리 이재석 동문)
2025-03-05 [수상] 구연정 대학원생,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동상
2025-02-11 [동아사이언스] “양자과학기술, 실용성에만 투자 안타까워…본질 탐구 선행돼야” (물리 홍정기 명예교수)
2025-01-27 [노벨상에 도전하는 과학자] 윤건수 교수 “규모 크지 않더라도 꾸준한 지원과 사람 육성 중요” 관련링크
top_b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