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뮤니티
  • 새소식
새소식

[대구신문/이후종, 이길호 교수]양자컴퓨터 상용화 앞당길 초전도접합 첫 실현

페이지 정보

2017.10.23 / 7,521

본문

포스텍 물리학과 연구팀
양자간섭소자 등 폭넓게 활용
 
초전도 물질은 온도를 극저온으로 내리면 전기저항이 사라져 열이 나지 않으면서 전류가 흐르는 초전류 특성을 보여, 전기·전자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이런 초전도 물질 사이에 얇은 전도체를 끼워 넣으면 서로 떨어져 있는 초전도 물질 사이에도 전기저항이
없는 초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접합구조는 전도체에 초전도 물질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쌓는 복잡한과정을 통해서만 제조가 가능했다. 포스텍 연구팀이 그래핀 전도막에 니오비움다이셀레나이드(NbSe2)라는 층상구조를 지닌 초전도물질을 미세 스케일에서 옮겨 붙이는 전사 방식을 이용해 강한 결맞음 특성을가지는 초전도접합을 구현해 냈다.
 
18일 포스텍 물리학과 이후종·이길호 교수 연구실의 김민수 박사(현 맨체스터대학 박사연구원)와 박건형,이종윤, 박진호, 이현우 (이상 박사과정), 이재형 박사 연구팀은 그래핀과 초전도물질을 차례로 옮겨 붙이는 비교적 간편한 방식으로 그래핀을 두 초전도 전극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끼워 넣은 수직형태의 초전도접합을 최초로 실현했다.
 
탄소원자로 이루어진 그래핀은 원자 하나의 두께를 가진 가장 얇은 전도물질로서, 이렇게 제작된 초전도접합은 초전도 전극간에 그간 보고된 적이 없는 강한 연계성과 양자간섭 특성을 보여 미래형 첨단 컴퓨터로 불리는 양자컴퓨터나 양자간섭소자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연구를 주도한 포스텍 이후종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앞으로 그래핀-초전도 양자소자 개발은 물론 그래핀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전사 물질 접합 응용에 실질적인 활로를 열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포항=이시형기자 lsh@idaegu.co.kr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9-02-12 19:01:28 공지사항에서 이동 됨]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새소식
Total : 760
게시물 검색
새소식 목록
2020-12-09 [전자신문]이현우교수, 전원 꺼져도 안 지워지는 고속 메모리 기술 개발
2020-11-04 [매일경제] 손민주 교수, 엠디뮨, 1ST BioDrone Award서 최종 4개 과제 선정 및 연구 협약 체결
2020-10-13 [전자신문] 이대수교수, AI로 원자 구조변이 제어해 새로운 물리현상 구현
2020-10-05 [연합뉴스]이길호교수, 네이처(Nature) 에 공개된 초고감도 마이크로파 검출기 개발…양자컴퓨팅 활용
2020-09-25 [연합뉴스] 임지순 석학교수, IAAM 올해의 과학자상 수상
2020-09-22 [영남일보] 박재훈교수(막스플랑크 포스텍 소장)"포항, 페라이트 원료 확보에 독보적"
2020-07-10 [전자신문] 이길호 교수 "고차원 위상부도체 존재 확인...양자컴퓨터 제작 실마리 풀었다"
2020-07-09 송창용교수 무은재석좌 교수 추대
2020-06-05 박지우 교수, 이현우 교수,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선정
2020-05-11 이종봉 교수 연구실 부가연 학생, '2020 페임랩(Fame-Lab) 코리아'에서 대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
2020-05-08 민병일 교수, 제39회 스승의날 근정포장 수상
2020-03-24 [중앙일보] 이현우 교수 빛에 의한 초고속 스핀 생성 원리 밝혀내
2020-03-23 [주간조선]양자광학자 김윤호 포항공대 교수
2020-03-23 조길영 교수 2019학년도 물리학과 우수강의상 수상
2020-03-23 [주간조선] 염한웅 기초과학원 단장·포항공대 교수- 하(세계 최고 전자현미경 두세달 내 완성)
top_b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