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뮤니티
  • 새소식
새소식

뉴스 | [전자신문외3건] 포스텍, 광 유도 비평형 융해의 뒤집어진 핵 생성 관측 (물리 송창용 교수·통합과정 황준하, 화학 임영옥 …

페이지 정보

2024.05.17 / 2,451

본문

포스텍, 광 유도 비평형 융해의 뒤집어진 핵 생성 관측


 포스텍(POSTECH)은 송창용 물리학과 교수·통합과정 황준하 씨, 화학과 임영옥 연구부교수 연구팀이 초고속 광 유도 융해과정에서 일어나는 독특한 현상을 관측하고, 초고속 융해를 이해를 위한 연구 기반을 구축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물질이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융해 현상은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가장 보편적인 상 변이 현상 중 하나다. 하지만 이러한 보편적인 현상이 극한의 짧은 시간에서 일어나면 융해는 기존과 다른 새로운 특성을 나타낸다.

 

 

 

왼쪽부터 송창용 교수, 황준하 씨, 임영옥 연구부교수

                                                    왼쪽부터 송창용 교수, 황준하 씨, 임영옥 연구부교수


연구팀은 초고속 광 유도 비평형 융해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 포항가속기연구소 엑스선 자유전자레이저(PAL-XFEL)를 사용한 '단일 펄스 시분해 결맞는 회절 이미징'을 이용했다. 이 기술은 펨토초 간격으로 레이저와 X-선을 조사해 물질의 내부 구조 변화를 추적하는 방법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금(Au) 나노입자들이 융해될 때 내부의 밀도 분포를 시각화한 후, 이온도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으로 실험 결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빛에 의해 활성화된 전자의 에너지를 전달받은 이온들이 피코초 동안 기가 파스칼(GPa) 수준의 강력한 압력을 만들어 물질 용융 과정을 제어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높은 에너지와 빠른 환경 변화로 인해 초고속 비평형 융해는 물질 내부 비어있는 공간이 핵(중심)처럼 자라 나는 '뒤집힌 핵 형성 과정'을 수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처럼 비어있는 공간의 형성은 일반적인 융해 현상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현상으로 광유도 초고속 비평형 융해의 극한환경에서만 발생한다. 또 연구팀은 레이저의 편광과 세기가 공간의 변화 양상을 조절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레이저의 편광은 공간 생성 위치를 조절하며, 레이저의 세기는 공간의 생성 분포를 결정했다.

송창용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광 유도 비평형 융해 현상에서 새롭게 일어나는 '뒤집힌 핵 형성 과정'을 직접 관측하고 해석했다”며, “관측 및 분석 결과는 광 유도 초고속 비평형 융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지식기반 구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과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방사광가속기공동이용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1. https://www.etnews.com/20240516000079 (전자신문)

2.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5438 (동아사이언스)

3. https://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48543 (경북도민)

4.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19699 (교수신문)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새소식
Total : 760
게시물 검색
새소식 목록
2025-06-02 [국민일보] 중국은 인재 귀국하는데…한국선 박사 따도 일자리 없다 (물리/융합 신희득 교수)
2025-06-02 [김동언 교수] 전자 터널링 양자 현상의 베일을 벗기다.
2025-05-14 [SBS News] 100억 분의 1미터…반도체 옹스트롬 세계 진입하나 (물리 염한웅 교수)
2025-05-12 [동아사이언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흥미로운 양자정보기술 ±20년’을 주제로 제235회 한림원탁토론회 개최 (물리/융합 김윤호 교수)
2025-04-30 [더벨] “래블업, AI 스케일업 손쉽게…필수 인프라 될 것” (물리 신정규 동문)
2025-04-28 [전자신문]CPU분할 가상화기술 특허 보유 AI워크로드 실행 효율성 극대화 (물리 신정규 동문)
2025-04-23 [삼다일보] 제주과학고, 서준호 포스텍 교수 초청 특강
2025-04-22 [마켓뉴스] APCTP 신진연구그룹장 윤영대 박사, 한국물리학회 ‘플라즈마물리학 신진과학자상’ 수상 (물리 윤영대 겸직교수)
2025-04-15 [전자신문] 한국 인공태양 ‘KSTAR’ 국제 위상 점검…14~16일 국제자문위원회 개최 (물리/첨단원자력 윤건수 교수)
2025-04-15 [매일경제] “대한민국은 다시 젊어질 수 있을까요”...국가 미래를 바꿀 열 가지 질문은? (물리 염한웅 교수)
2025-04-10 [한국경제] “수백 대 GPU 서버 효율적 관리…최적의 AI 연구개발 환경 만든다” (물리 신정규·박종현 동문)
2025-04-03 [동아사이언스] “핵융합 조기 상용화하는 데 KSTAR 성능 한계 있다” (첨단/물리 윤건수 교수)
2025-04-03 [수상] 이채린 학생(통합1년차, 지도교수 손민주) 미국 「생물물리학회 연례 학술대회」 학부 포스터 대회 우승
2025-03-28 [뉴시스] 포항시, AI시대 미래 성장 동력 발굴 위해 전문가 의견 청취 (박재훈 막스플랑크 포스텍연구소장, 나노융합기술원 신훈규 연구교수)
2025-03-07 [비즈니스포스트] 이재석 카페24 대표이사 (물리 이재석 동문)
top_b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