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뮤니티
  • 새소식
새소식

뉴스 | [이길호 교수, 조길영 교수] 초전도 소자의 양자속박상태 조절법 제시

페이지 정보

2024.06.11 / 2,811

본문

초전도 소자의 양자속박상태 조절법 제시

 

- POSTECH 연구팀조셉슨 접합의 양자특성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

 

626ebe2ea4e2bfe38c642ad98600fc22_1717974296_9339.png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물리학과 이길호 교수조길영 교수 연구팀은 일본 국립재료과학연구소(NIMS) Kenji Watanabe, Takashi Taniguchi 박사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겹층 그래핀(bilayer graphene) 기반 조셉슨 접합 (Josephson junction)의 성질을 결정짓는 안드레예프 속박 상태 (Andreev bound states)의 양자역학적 특성을 게이트 전압 인가를 통해 성공적으로 조절하였다이번 연구는 미국 국제 학술지 ‘Physical Review Letters’ 에 최근 게재됐다. 

 

조셉슨 접합은 두 초전도체 사이 매우 얇은 일반 도체를 통해 초전류가 흐를 수 있는 소자로양자컴퓨터고정밀 양자 센서저전력 및 고속 전자 소자 등에 활용되고 있다두 초전도체 사이에 위치한 겹층 그래핀에 속박된 전자는 안드레예프 속박 상태란 양자화된 에너지 상태로 존재하게 되며이는 조셉슨 접합의 작동 특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이번 연구는 겹층 그래핀의 에너지 분산 특성을 게이트 전압으로 조절하여 초전도 결맞음 길이를 제어하고이에 따른 안드레예프 속박 상태의 에너지 준위 분산 및 개수를 실시간으로 손쉽게 조절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626ebe2ea4e2bfe38c642ad98600fc22_1717974277_3532.JPG
   

다양한 양자정보소자로서 응용 가능성이 높은 조셉슨 접합의 전기적 특성은 소자를 구성하는 일반금속의 전도층에 존재하는 안드레브 속박 상태의 에너지-위상 관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이 속박 상태는 전도 채널의 길이와 초전도 결맞음 길이(superconducting coherence length)의 비율에 따라 에너지 준위 분산 및 개수가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는데일반적으로 준위 개수가 1쌍일 때는 짧은 접합 한계(short junction limit)에 있다고 하며 2쌍 이상일 때는 긴 접합 한계(long junction limit)에 있다고 한다이러한 준위 개수는 조셉슨 접합의 양자정보 소자로서의 역량을 조절하는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본 연구팀은 겹층 그래핀의 이차 함수와 유사한 에너지 분산 관계를 이용하여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면 초전도 결맞음 길이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본 연구팀에서 기존에 개발한 터널링 분광법(tunneling spectroscopy)을 활용하여 다양한 게이트 전압에서 안드레예프 속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변화함을 관측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이론적 계산과도 잘 일치한다는 사실을 보였다.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새소식
Total : 778
게시물 검색
새소식 목록
Notice 2025-11-06 [수상] 2025 KPS Fall Meeting 우수발표상 수상자
Notice 2025-11-06 [수상] 2025년 학부생 물리연구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권도현, 이재희)
2025-10-29 [매일경제] 한·미 연구 교류 협력 간담회 “좋은 일자리 있다면 한국 돌아가고 싶어요.” (산경/물리/융합 정우성 교수)
2025-10-24 [경북매일] 포스코청암재단, 신진과학자 포스코사이언스펠로 30명 선정 (물리 최영준 교수)
2025-10-22 [머니투데이] 과학창의재단, 美 현지서 릴레이 간담회…”사전 신청 조기 마감” 열기 (산경/물리/융합 정우성 교수)
2025-10-20 [연합뉴스 외 1] ‘포스텍 컨퍼런스: 제 2회 미래 양자기술 국제학술대회’ 개최
2025-10-17 [뉴시스] 경북도, 이번 주말 안동서 ‘23회 경북과학축전’ 연다 (물리 전재형 교수)
2025-10-02 [디지틀조선일보] “폐쇄적 AI, 가짜 혁신 위험 불러” (물리 노영균 동문)
2025-09-30 [아시아경제] BISTEP, ‘제11회 부산 R&D주간’ 열어… AI·바이오 혁신기술 논의의 장 (물리 염한웅 교수)
2025-09-29 [동아사이언스외2건] 포스텍, 초임계 유체에서 ‘나노 액체 클러스터’ 첫 실험 입증 (첨단원자력/물리 윤건수 교수)
2025-09-25 [뉴스웍스외1] ‘대형가속기법’ 시행…전문인력 양성·좋은 일자리 계기 돼야 (첨단원자력/물리 정모세 교수)
2025-09-24 [삼다일보] 지속 가능 제주 에너지·신산업 분야 과제 논의 (물리 문미옥 동문)
2025-09-17 [이데일리] 과학강국 꽃피울 씨앗 ‘기초과학’ (첨단원자력/물리 정모세 교수)
2025-09-09 [수상] 김범준 교수, 2025년 제39회 인촌상 과학·기술 부분 수상
2025-08-28 [퍼블릭뉴스통신] 바리스타 필요 없는 스페셜티 커피 구현…안형전 물리학 박사의 'REAL9' 혁신 (물리 안형전 동문)
top_b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