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뮤니티
  • 새소식
새소식

뉴스 | [조선비즈외5건] 반도체 발열 문제, 양자 파동으로 해결한다 (물리 이현우 교수)

페이지 정보

2024.06.18 / 2,138

본문

 

 

2e1820e727857d191945a3f16a8a380f_1718672905_0214.jpg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포스텍(포항공대) 공동 연구진이 발견한 2D(평면) 반강자성체에서 나타나는
 '마그논 오비탈 홀 효과'의 모식도. 발열로 에너지 손실이 나타나는 정보처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한국과학기술원 

 

연구진이 차세대 반도체 기술인 스핀트로닉스와 오비트로닉스의 단점을 보완할 기술을 개발했다. 

김세권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교수와 이현우 포스텍(포항공대) 물리학과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진은 전자의 발열 없이 정보 전달이 가능한 ‘마그논’의 새로운 움직임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기존 정보처리 기술은 전자를 이용해 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많이 손실된다. 전자가 도체를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저항에 의해 에너지가 열로 바뀌어 사라지기 때문이다. 전자의 전기량인 전하와 자기적 회전인 스핀을 함께 활용하는 스핀트로닉스, 전자의 위치를 의미하는 오비탈을 이용하는 오비트로닉스 같은 차세대 반도체 기술이 모두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양자화된 파동인 ‘마그논’을 이용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부피와 질량이 있는 전자를 이용하면 발열이 생기지만 파동을 이용하면 발열 없이 정보처리가 가능하다. 다만 아직 마그논의 움직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해 이를 반도체 같은 정보처리 기술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연구진은 2D(평면) 물질에서 세계 최초로 ‘마그논 오비탈 홀 효과’를 발견했다. 마그논 오비탈 홀 효과는 스핀 파동이 양자화돼 진행 궤적이 휘어지는 현상이다. 2010년 처음 발견돼 이전에는 모르던 새로운 마그논의 움직임으로 확장한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이전에는 전자의 회전 운동인 스핀 자유도만 이용할 수 있었으나 새로운 움직임으로 정보처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크다.

연구진은 벌집 모양의 격자 구조를 이루는 삼황화린망간(MnPS₃)에서 강한 마그논 오비탈 홀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했다. 삼황화린망간은 2D(평면) 반강자성체로 마그논 오비탈 효과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반강자성체는 인접한 원자의 전자 스핀이 정 반대로 자성이 없는 물질이다. 스핀트로닉스와 오비트로닉스를 구현할 수 있는 재료로 주목 받고 있다. 

김 교수는 “마그논 오비탈과 수송이론의 정립은 아직 세계적으로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독창적이고 도전적인 문제”라며 “기존 정보처리 기술의 한계를 혁신적으로 뛰어넘는 초저전력 오비탈 기반 정보처리 기술의 기틀을 세울 수 있을 것ˮ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지난달 29일 소개됐다.

Nano Letters(2024), DOI: https://doi.org/10.1021/acs.nanolett.4c00430 

 

 

1.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5971(동아사이언스)

2.https://www.sedaily.com/NewsView/2DAI028SAV(서울경제)

3.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40617050114(헤럴드경제)

4.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473126638922704&mediaCodeNo=257&OutLnkChk=Y(이데일리)

5.https://www.etnews.com/20240617000043(전자신문)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새소식
Total : 749
게시물 검색
새소식 목록
2025-04-03 [동아사이언스] “핵융합 조기 상용화하는 데 KSTAR 성능 한계 있다” (첨단/물리 윤건수 교수)
2025-04-03 [수상] 이채린 학생(통합1년차, 지도교수 손민주) 미국 「생물물리학회 연례 학술대회」 학부 포스터 대회 우승
2025-03-28 [뉴시스] 포항시, AI시대 미래 성장 동력 발굴 위해 전문가 의견 청취 (박재훈 막스플랑크 포스텍연구소장, 나노융합기술원 신훈규 연구교수)
2025-03-07 [비즈니스포스트] 이재석 카페24 대표이사 (물리 이재석 동문)
2025-03-05 [수상] 구연정 대학원생,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동상
2025-02-11 [동아사이언스] “양자과학기술, 실용성에만 투자 안타까워…본질 탐구 선행돼야” (물리 홍정기 명예교수)
2025-01-27 [노벨상에 도전하는 과학자] 윤건수 교수 “규모 크지 않더라도 꾸준한 지원과 사람 육성 중요” 관련링크
2025-01-21 [전자신문외5건] 음식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청정수소 생산 돕는다 (물리/첨단원자력 윤건수 교수, 기계 진현규 교수·통합과정 이동규, 첨단원자력 박사과정 유재민)
2025-01-08 [전자신문외4건] ‘이중층 그래핀’ 비국소 저항 원인 규명 (물리/융합 이길호 교수, 물리 통합과정 정현우)
2025-01-03 [머니투데이] “스타트업과 M&A 분야 대표 로펌으로”…디엘지, 투톱 체제 구축 (안희철 물리 동문/산경 겸직교수)
2025-01-02 [이코노미사이언스외5건] 래핀과 초전도체 만남…전극 접합 획기적 개선 (물리/융합 이길호 교수, 물리 장성 박사후연구원)
2024-12-17 [이뉴스투데이외5건] 한양대 정문석-포스텍 박경덕 교수 공동 연구팀, 다크 엑시톤 발광 구현 성공…광전자 공학 혁명
2024-12-17 [지디넷코리아] “핵융합 사업 단절 없애려면 생태계 구축 선행돼야” (첨단원자력/물리 윤건수 교수)
2024-12-06 [수상] 김희철 교수, 「2024년 에쓰-오일 차세대과학자상」
2024-12-06 [수상] 물리학과 조대근 박사(지도교수 이현우), 「2024년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
top_b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