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뮤니티
  • 새소식
새소식

뉴스 | [전자신문외2]포스텍 이길호·조길영 교수 연구팀, 초전도체 양자속박상태 새로운 조절법 찾았다

페이지 정보

2024.06.28 / 2,478

본문

포스텍(POSTECH)은 이길호 물리학과 교수·조길영 교수 연구팀이 일본 국립재료과학연구소(NIMS) 켄지 와타나베 박사·타카시 타니구치 박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이중층 그래핀 기반 안드레예프 속박 상태의 양자역학적 특성을 게이트 전압으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23ab73ef09089758dbda60e43b6dd90b_1719530408_2845.jpg
이길호 물리학과 교수(왼쪽)와 조길영 교수 

 

 

초전도체는 영하 200도 이하와 같은 극저온 및 고압 등 특정한 환경에서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물질이다. 두 초전도체 사이에 매우 얇은 일반 도체를 삽입하면 초전도성이 일반 도체에 스며드는 근접 효과로 인해 일반 도체를 통해 초전류가 흐르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조셉슨 접합 구조라고 한다. 이때 일반 도체에는 안드레예프 속박 상태라는 새로운 양자 상태가 형성되며, 이는 일반 도체에 흐르는 초전류를 매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셉슨 접합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안드레예프 속박 상태의 에너지 준위 개수는 전자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전도 채널 길이'와 초전도 상태가 형성된 '초전도 결맞음 길이'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전도 채널이 짧아 안드레예프 속박 상태 준위가 한 쌍으로 제한되는 경우, '짧은 접합 한계에 있다'고 말하며, 두 쌍 이상일 때는 '긴 접합 한계에 있다'고 한다.

 

 

23ab73ef09089758dbda60e43b6dd90b_1719530468_8831.jpg

 

터널 전극이 부착된 이중층 그래핀 조셉슨 접합 소자(왼쪽)와 게이트 전압에 따라 안드레예프 속박 상태의 에너지 준위 수가 바뀌는 모습 

터널 전극이 부착된 이중층 그래핀 조셉슨 접합 소자(왼쪽)와 게이트 전압에 따라 안드레예프 속박 상태의 에너지 준위 수가 바뀌는 모습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게이트 전압을 이용해 이차 함수와 유사한 이중층 그래핀 전자 상태와 에너지 분포, 초전도 결맞음 길이를 실시간으로 제어했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를 통해 개발한 터널링 분광법으로 다양한 게이트 전압에서 안드레예프 속박 상태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1저자인 포스텍 양자정보소자 인력양성 연구센터 박건형 연구원은 짧은 조셉슨 접합 한계에서 주로 관측되던 안드레예프 속박 상태를 긴 조셉슨 접합 한계에서 명확하게 관측했다. 게이트 전압을 가해주는 것만으로 에너지 준위의 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양자 컴퓨팅과 고정밀 양자 센서 등 다양한 양자 정보 소자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학정보통신연구센터 협의회, Air Force Office of Scientific Research, 기초과학연구원, 삼성미래기술 육성사업, 삼성전자, 기초과학연구소, 일본 학술진흥회(JSPS KAKENHI), World Premier International Research Center Initiative(WPI)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최근 물리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1.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6169 (동아사이언스)

2.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21452 (교수신문)

3. https://www.eurekalert.org/news-releases/1049996

4. https://bioengineer.org/new-method-developed-to-control-quantum-bound-states-in-superconducting-device/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새소식
Total : 760
게시물 검색
새소식 목록
Notice 2025-07-14 [시사저널e] AI 환경 ‘레벨업’···“GPU만 많다고 AI가 돌아가나요?” (물리 신정규 동문)
Notice 2025-07-14 [한국경제] “과기정책, 이대론 추격자 신세…정부가 1등상품 만든단 착각 버려야” (물리 염한웅 교수)
Notice 2025-07-14 [경북매일외7] 포스텍, 이대수 교수팀, 현미경 탐침 전자기기 속 나노 세상 정밀 조절
Notice 2025-07-09 [문화일보] 파격 연구비·정년확대…석학들, 지역대학 몰려간다 (최영준 교수)
Notice 2025-07-01 [뉴스1] 경북도, ‘양자과학기술 글로벌파트너십’ 선정…국비 223억 확보 (물리 이길호 교수)
Notice 2025-07-01 [이코노미사이언스외3건] 포스텍 박경덕·노준석 교수팀, 2차원반도체 발광효율 1600배 향상…초절전 디스플레이 길 열었다
2025-06-30 [KIST] ‘노벨상 펀드’ HFSP, 최지현 박사 선정…”집단지능 비밀 풀겠다” (물리 최지현 동문)
2025-06-27 [지디넷코리아] KBSI, 제1회 다목적방사광가속기 미래과학 국제워크숍 (물리 송창용 교수)
2025-06-25 [더벨] 김덕수 아우토크립트 사장 “車 사이버보안 SW, 산업 필수재 될 것” (산경 이석우 겸직교수, 물리 김의석 동문, 전자 김덕수·심상규 동문)
2025-06-25 [이코노미사이언스외3] “춤추고 싶은 원자, 전자에 막혀 ‘쩔쩔’”…양자 제어 가능해지나 (물리 송창용 교수·통합과정 허승필)
2025-06-24 [연합뉴스] 세계 방사광가속기 석학들 청주 오송에 모인다 (물리 송창용 교수)
2025-06-12 [뉴스1] 뒤처진 韓 양자기술, 美·中 추격 방법은…”정부, 초기 수요 견인 필요” (물리 이길호 교수
2025-06-12 [조선일보] ”추격자 모델 한계…기초과학 투자, 대체불가 기술 개발을” (물리 염한웅 교수)
2025-06-12 [전자신문외5건] 포스텍·카이스트·日NIMS, 세계 최초로 전자 에너지 상태를 자유롭게 제어하는 양자 소자 개발(물리 이길호 교수·통합과정 정우찬·진세영
2025-06-02 [매일경제] 상장 나서는 아우토크립트 “글로벌 車 보안시장 선점” (산경 이석우 겸직교수, 전자 김덕수 동문, 물리 김의석 동문, 전자 심상규 동문)
top_b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