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뮤니티
  • 새소식
새소식

뉴스 | [박경덕 교수] 초고분해 극초단 펄스 전압조절기 개발 성공

페이지 정보

2024.11.21 / 13

본문

 

초고분해 극초단 펄스 전압조절기 개발 성공


저널명: Science Advances 10, eadr0492 (2024)

 

발표일: 2024-11-15

 

 

b389cd483fae58d670a430f2d5e3ea6d_1732144603_3366.jpg
초고분해 극초단 펄스 전압조절기를 통해 상온에서 MoS2단일층의 나노 공간 전자 밀도를 제어하고
광발광 신호 변화를 관측하는 모식도

 

 

전자 분포는 양자소자의 전기적 · 광학적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양자물질의 전자 분포를 극히 작은 공간에서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은 차세대 초미세 반도체소자 개발의 초석이 된다. 전자 분포를 조절하여 2차원 반도체의 상전이, 전도도 변화, 반도체입자 형성 및 거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초전도 특성을 가지는 반도체나 특수한 나노격자 구조를 이용한 메모리 구현이 가능하다. 저차원 양자물질의 전자 분포와 밀도 조절을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 화학적 전하주입법과 정전기적 전하주입법이 있다. 이 중 정전기적 전하주입법은 가역적이고 비파괴적이며, 빠르고 안정적인 전자 분포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나노 공간에서의 정전기적 전하주입법은 아직까지 해결되지 못한 어려운 문제다. 반도체 나노 공간에 전기장을 걸더라도 전자의 빠른 확산으로 인해 제어 불가능한 넓은 공간의 전자 분포가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2차원 반도체의 무작위적인 전자 확산은 초미세 반도체소자 개발에 있어서 큰 제약이 되고 있다. 따라서 차세대 반도체소자 개발을 위해서 전자 확산 문제를 극복하고 나노 공간에서 반도체의 전자 분포를 조절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박경덕 교수 연구팀은 원자힘현미경, 전도성 나노광학 안테나 탐침, 초고분해 분광장치, 고속 교류전압 펄스 발생기를 연동 결합한 초고분해 극초단 펄스 전압조절기를 개발해 나노 공간에서 저차원 양자물질의 전자 분포를 조절하는 장비를 최초로 구현했다. 복잡한 미세 전극 소자가 필요한 기존 방식과 달리 나노광학 안테나 탐침에 고속 교류전압을 걸어 저차원 양자물질의 전자 밀도를 나노 공간에서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연구팀은 개발한 장비를 이용하여 2차원 반도체인 이황화몰리브덴(MoS2) 단일층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나노 공간에서 정밀하게 제어했다. 또한, MoS2 단일층의 전기적 특성과 광학적 특성을 정밀하게 동시 측정한 결과, 전자 밀도를 조절함에 따라서 MoS2나노 공간 내 반도체입자들이 상호 변환되며, 동시에 MoS2단일층의 광발광 양자수율에도 변화가 있는 물리적 현상을 규명했다. 더 나아가 고속 교류전압 펄스 폭에 따른 광발광 세기 측정과 이와 연관된 이론적 모델링을 통해 초고분해 극초단 펄스 전압조절기에 의해 전자 분포 제어가 나노 공간에서 가능함을 검증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김수정 씨는양자물질의 전자 분포를 자유자재로 제어하는 원천기술의 개발은 차세대 초미세 반도체소자 개발의 토대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전했다. 또한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이형우 씨는 “2차원 반도체의 무작위적인 전자 확산 난제를 극복하고 이의 능동적제어까지 가능해졌기 때문에 전자 밀도의 공간적 변화에 의해 반도체소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물리현상들을 다각적으로 규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연구에 사용된 2차원 반도체 물질의 제작은 성균관대 김기강 교수팀, 고 유전상수 산화물박막 제작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박형렬 교수팀이 참여했으며, POSTECH 물리학과 주희태 씨가 측정 연구를 함께 수행했다.

한국연구재단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최근 게재됐다.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새소식
Total : 717
게시물 검색
새소식 목록
Notice 2024-11-21 [박경덕 교수] 초고분해 극초단 펄스 전압조절기 개발 성공 새글
Notice 2024-11-11 [바이라인네트워크] 래블업 신정규 대표 “AI의 대항해 시대가 끝나고 있다” (물리 신정규 동문)
Notice 2024-11-07 [헬로디디] 창조 국가 향한 큰 질문 ‘그랜드 퀘스트 2025’ 개막 (물리 염한웅 교수)
Notice 2024-11-05 [경북도민일보] APCTP, ‘아태 젊은 물리학자상’에 포스텍 이길호 교수 등 3명 선정
Notice 2024-11-05 [조선비즈 외 1]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에 정우성 포스텍 교수 (산경/물리/융합 정우성 교수)
Notice 2024-10-24 [경상매일신문외3] 포스텍, 차세대 초고속 반도체입자 변조기 개발 성공 (물리/융합 박경덕 교수, 물리 통합과정 주희태·이형우·김수정)
Notice 2024-10-29 [매일경제] “AI로 반도체칩 효율적 사용 도와…엔비디아도 반했죠” (물리 신정규·박종현 동문)
Notice 2024-10-24 [박재훈 교수, 송창용 교수]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硏, 세계적 英연구소와 공동연구 MOU
Notice 2024-10-18 플라즈마 및 입자가속기 연구 거장, 조무현 명예교수를 추모합니다.
Notice 2024-10-15 [김범준 교수 연구실]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에서의 나선 전하 밀도파의 형성 원리
2024-09-27 김승환 명예교수님 정부포상 '옥조근정훈장' 수상
2024-09-23 [양자정보과학] 2025학년도 신입생 모집
2024-07-29 [조선일보] 2024년 글로벌 선도연구센터 선정-포스텍 양자 각운동량 동역학 센터 (물리 이현우 교수)
2024-06-28 [이길호 교수] 2024 제7회 한성과학상 수상
2024-06-28 [전자신문외2]포스텍 이길호·조길영 교수 연구팀, 초전도체 양자속박상태 새로운 조절법 찾았다
top_b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