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뮤니티
  • 새소식
새소식

뉴스 | [전자신문] 한국 인공태양 ‘KSTAR’ 국제 위상 점검…14~16일 국제자문위원회 개최 (물리/첨단원자력 윤건수 교수)

페이지 정보

2025.04.15 / 179

본문

한국 인공태양 'KSTAR' 국제 위상 점검…14~16일 국제자문위원회 개최

38cfcfc877cb61287630096103a9a022_1744701634_1431.jpg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원장 오영국)은 '제11차 KSTAR 프로그램 국제자문위원회(이하 PAC 회의)'를 오는 14~16일까지 핵융합연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PAC 회의는 KSTAR 연구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세계 핵융합 연구기관 전문가들을 초청해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다. 2년에 한 번 개최된다.

KSTAR 연구 성과를 국제 기준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향후 계획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립하기 위한 기회다.

이번 회의에는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국립 연구소인 프린스턴 플라즈마 물리 연구소(PPPL)와 오크리지 국립연구소(ORNL), 미국의 세계적 핵융합 기업인 제너럴 아토믹스(GA), 영국 원자력청(UKAEA), 독일 막스플랑크 플라즈마 물리연구소(IPP), 프랑스 원자력청(CEA), 이탈리아 신기술·에너지·지속가능한 경제개발청(ENEA), 일본 양자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구(QST) 및 핵융합 연구소(NIFS)까지 각국을 대표하는 핵융합 선도기관 전문가들이 참석한다.

박종규 서울대 교수, 윤건수 포항공대 교수 등 국내 핵융합 전문가들도 자문위원으로 참여한다.

자문위원들은 KSTAR 최근 연구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진행될 주요 실험 및 연구 방향을 검토한다. 또 KSTAR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장치 업그레이드 방안과 전략 수립 자문도 다뤄질 예정이다.

이번 회의 결과는 2025년 KSTAR 프로그램 자문위원회 보고서로 제출되며, 이는 KSTAR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오영국 원장은 “KSTAR는 앞으로도 핵융합 난제 해결에 기여하며, 핵융합에너지 실현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라며,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국제 공동 연구에서도 더욱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겠다”고 전했다.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새소식
Total : 737
게시물 검색
새소식 목록
Notice 2025-04-15 [전자신문] 한국 인공태양 ‘KSTAR’ 국제 위상 점검…14~16일 국제자문위원회 개최 (물리/첨단원자력 윤건수 교수)
Notice 2025-04-15 [매일경제] “대한민국은 다시 젊어질 수 있을까요”...국가 미래를 바꿀 열 가지 질문은? (물리 염한웅 교수)
Notice 2025-04-03 [동아사이언스] “핵융합 조기 상용화하는 데 KSTAR 성능 한계 있다” (첨단/물리 윤건수 교수)
Notice 2025-04-03 [수상] 이채린 학생(통합1년차, 지도교수 손민주) 미국 「생물물리학회 연례 학술대회」 학부 포스터 대회 우승
Notice 2025-03-28 [뉴시스] 포항시, AI시대 미래 성장 동력 발굴 위해 전문가 의견 청취 (박재훈 막스플랑크 포스텍연구소장, 나노융합기술원 신훈규 연구교수)
Notice 2025-03-05 [수상] 구연정 대학원생, 「제31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동상
Notice 2025-01-27 [노벨상에 도전하는 과학자] 윤건수 교수 “규모 크지 않더라도 꾸준한 지원과 사람 육성 중요” 관련링크
Notice 2025-01-08 [전자신문외4건] ‘이중층 그래핀’ 비국소 저항 원인 규명 (물리/융합 이길호 교수, 물리 통합과정 정현우)
Notice 2025-01-02 [이코노미사이언스외5건] 래핀과 초전도체 만남…전극 접합 획기적 개선 (물리/융합 이길호 교수, 물리 장성 박사후연구원)
2025-04-10 [한국경제] “수백 대 GPU 서버 효율적 관리…최적의 AI 연구개발 환경 만든다” (물리 신정규·박종현 동문)
2025-03-07 [비즈니스포스트] 이재석 카페24 대표이사 (물리 이재석 동문)
2025-02-11 [동아사이언스] “양자과학기술, 실용성에만 투자 안타까워…본질 탐구 선행돼야” (물리 홍정기 명예교수)
2025-01-21 [전자신문외5건] 음식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청정수소 생산 돕는다 (물리/첨단원자력 윤건수 교수, 기계 진현규 교수·통합과정 이동규, 첨단원자력 박사과정 유재민)
2025-01-03 [머니투데이] “스타트업과 M&A 분야 대표 로펌으로”…디엘지, 투톱 체제 구축 (안희철 물리 동문/산경 겸직교수)
2024-12-17 [이뉴스투데이외5건] 한양대 정문석-포스텍 박경덕 교수 공동 연구팀, 다크 엑시톤 발광 구현 성공…광전자 공학 혁명
top_btn